성형 신화

초고장력강에서는 연신율이 성형성을 평가하는 합당한 기준이 아닌 이유.

우선 질문을 하겠습니다:
인장 강도가 1400 MPa이고 3-4%의 연신율만 나타내는 강종으로 복합적인 구성품들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어떤 사람들은 놀라겠지만 정답은 '예'입니다 -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초고장력강(AHSS 및 UHSS)의 경우 연신율은 성형성과 다릅니다.

강종의 성형성은 오직 연신율만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오해를 안타깝게도 몇몇 제조업체들은 아직까지 믿고 있습니다. 그 결과 자동차 구성품뿐만 아니라, 그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고장력강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놓치고 있습니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이 신화가 어떻게 탄생했는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이 모든 것은 강종 샘플을 부러질 때까지 잡아당기는 연신율 테스트에서 시작했습니다. 오류가 나타나기 전에 발생하는 변형을 퍼센트로 측정하였고 이것이 연신율 값입니다. 원래 이 테스트는 고장력강이 출현하기 전, 연강이 가장 널리 쓰이던 때 개발되었습니다.

연강으로 테스트했을 때 변형이 80mm 이상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연강의 성형성이 연신율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AHSS 및 UHSS는 그 복합적인 미세구조로 인해 그 거동이 다르며 80mm 이상에 걸쳐 연신율을 측정한다고 해도 여기에서 정확한 성형값을 산출할 수 없습니다.

SSAB의 성형 전문가인 Lars Troive는 설명합니다:
"전통적이고 전형적인 연강 강종의 경우 전반적인 변경 거동을 나타내는 편입니다. 초고장력 강종이라면 단지 3-4%의 연신율만 나타나고, 이는 80mm 이상에 걸쳐 측정되는 반면, 변형은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편입니다."

AHSS 및 UHSS의 실제 성형 한계를 측정하는 좋은 방법으로 인장 테스트 견본에서 2x2mm의 그리드를 만들어 테스트 이후 오류 영역과 근접한 영역을 자세히 관찰해 봅니다. 예를 들어 초고장력강인 Docol® 1000DP에서 실행한 인장 테스트를 보면 변형은 오류가 발생한 영역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mm의 구간을 관찰하고 그리드 박스가 얼마나 변형되었는지 측정하면 연신율이 약 20%에 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80mm 이상의 연신율은 10%에 그칩니다. 디테일을 성형할 경우 거의 모든 변형은 국부적으로 발생합니다. 따라서 80mm 이상의 구간에서 연신율을 측정하는 종래의 인장 테스트는 고장력강의 성형성에 대해서는 그 어떤 것도 밝히지 못한다"고 Triove는 말합니다.

FLD 문의

다양한 AHSS 및 UHSS 강종의 정확한 성형 정보는 어디에서 구하시겠습니까? 우리는 각종 Docol® 강종의 성형 한계도(FLD)를 제공합니다.
FLD는 다양한 변형 조건에서 다양한 국부적 신장 테스트를 실시하여 도출된, 즉 인장 테스트에만 국한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냅니다. FLD와 함께 우리는 Docol® AHSS에 관한 심도 싶은 지식과 조언도 제공하여 고객이 선택한 소재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제 이 신화의 정체를 완전히 밝혀보겠습니다. AHSS 및 UHSS의 경우 연신율 결과를 강종 성형성을 측정하는 유일한 방법으로 사용하지 마십시오. 훨씬 더 많은 것이 가능합니다 - 강도가 더 높은 강종으로 업그레이드할 경우 그 가능성들은 생각하신 것보다 훨씬 더 대단할 겁니다.

관련 내용

Docol® AHSS 강재 성형 데이터

기존의 Docol® 고객들은 자동차용 고장력강 선택과 시뮬레이션에 필요한 성형 데이터에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Automotive insights를 받아 보세요

무료 월간 Automotive Insights 뉴스레터 구독을 신청하셔서 귀사의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안에 대한 심도 있는 관련 기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Read more

더욱 강한 자동차용 강재를 완벽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성형 테스트

초고장력강(UHSS)은 자동차 분야에서 훨씬 더 널리 사용되고 있어 충돌 안전성은 계속 향상되고 구성품 중량은 계속 감소하며 많은 OEM이 혜택을 보게 될 것입니다. 다른 강재들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습니다. 몇몇 제조업체들은 단지 하나의 요인으로 인해 초고장력강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장 테스트에서 연신율이 낮게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이는 흔히 볼 수 있는 오해입니다. 초고장력강의 성형성을 측정하는 보다 정확한 방법이 존재하며, 이를 통해 초고장력강을 복잡한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