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게는 줄이고 강도는 높입니다

초고장력강(AHSS 및 UHSS)의 미래가 밝은 이유.

혁신적인 고성능 신규 강종이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 제품들은 몇몇 분야에서 연강과 비교할 때 강도와 안전성 면에서 개선되었으며 경량화 설계에 기여하여 결과적으로 연료 소비를 감소시켜 환경을 보호합니다.

초고장력강(AHSS 및 UHSS)은 무엇보다 자동차 산업 분야에 혁신을 일으키는데 기여하며 Docol® 강종은 이 혁신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전 세계 메이저 제조사 거의 대부분의 최신 자동차 부품들이 좌석 프레임에서부터 사이드 임팩트 및 루프 빔 그리고 범퍼에 이르기까지 갈수록 초고장력 강종으로 제조된 것을 보게 됩니다.

Docol® AHSS의 강도

Docol® AHSS의 강도는 구조 성능의 손실 없이 적은 양의 재료로 설계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Dual phase 강과 마르텐사이트 강은 항복 강도가 매우 높은 제품들이 있습니다. 이 강종들은 성형 시에는 현저한 가공경화 효과를, 도장 공정에서는 소부경화 효과를 보여 줍니다.

가공 경화 효과는 2% 변형률에서는 대략 150 MPa, 전형적인 도장 공정의 경우 소부경화 효과는 50 MPa가 추가됩니다.

가공 경화 및 소부 경화 효과 이외에도 AHSS는 변형률 경화 효과가 있어 변형속도가 높을 때 더 높은 응력을 지탱합니다. 이 효과는 자동차 충돌 시 국부적으로 나타나는 높은 변형률에서는 약 100 MPa에 해당합니다.

중량 감소의 잠재력

AHSS의 고장력은 차체 골격(BIW)과 범퍼 시스템, 도어 사이드 임팩트 빔, 시트 구조 등등의 중량 감소에 유리합니다. 이 잠재력이 잘 드러날 수 있는 이론상의 두 가지 사례를 아래의 두 그림으로 소개하겠습니다. 강판이 순전히 응력 상태에 있다면(그림. 1a) 응력은 1개의 두께와 일직선상으로 비례합니다. 순전히 휨 응력 상태에 있다면, 응력은 두께의 제곱에 비례합니다(그림 1b).

강판 작용과 표면 작용

그림 1: 강판 작용과 표면 작용

더 높은 응력을 지탱하는 재료를 도입할 경우 성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두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림 2는 이러한 이론상의 두 사례에서 중량 감소의 잠재력을 보여 줍니다.

안전에 중요한 요소의 경우 실현 가능한 중량 감소는 많은 경우 이러한 두 극단의 값 사이에 있습니다. 그렇지만 휨의 경우는 보존적 하한선이 아닙니다. 폭이 좁은 설계에서는 국부적 좌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 2에서 처럼 AHSS는 재료의 잠재력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국부적 휨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에 더욱 초점을 맞춥니다. 휨 응력 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빔을 사용하면 전체적인 휨 모멘트가 가장 잘 전달됩니다. 롤 형태의 프로파일이나 관으로는 휨 모멘트를 지탱하는 최적의 형상을 설계하고 제조할 수 있습니다.

AHSS를 사용한 중량 감소

그림 2: 응력 상태 및 휨 응력 상태에 AHSS를 사용할 경우의 중량 감소. 표시된 강종의 항복 강도는 2%의 가공 경화와 도장 후의 항복 강도에 해당합니다.

관련 내용

초고장력강(UHSS): UHSS란 무엇이며 이를 사용하여 차량을 개선시키는 방법

자동차의 초고장력강(UHSS)은 최소 인장 강도가 현저히 높은 초고장력강(AHSS)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UHSS(일명 "ultra-high tensile steels")는 AHSS 강종의 범주에 속합니다.

Read more
AHSS 코일

초고장력강(AHSS) 정의, 명명법 및 진화하는 범주

자동차에 사용되는 초고장력강은 AHSS 강종 제조업체의 자동차 산업 협회인 WorldAutoSteel에 따르면 최소 인장 강도가 440 MPa(64 ksi 또는 64,000 psi)인 강종입니다. 매우 간단히 말하자면, 모든 AHSS 강종은 제조업체들이 화학성분과 가열 및 냉각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해당 고강도에 도달하게 됩니다.

Read more

Automotive insights를 받아 보세요

무료 월간 Automotive Insights 뉴스레터 구독을 신청하셔서 귀사의 사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사안에 대한 심도 있는 관련 기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Read more